공지&이야기

무속인이 말하는 대표적인 굿의 종류 해설

무속인이 말하는 11가지 신점의 종류

무속인이 말하는 대표적인 굿의 종류 해설

굿은 우리 전통 민속신앙에서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중요한 의식입니다. 그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굿이 존재합니다. 아래는 무속인들이 자주 언급하는 대표적인 굿의 유형들입니다.


1. 운맞이굿

목적: 집안에 좋은 기운이 들지 않고, 계속 불운이 겹칠 때 운을 열어주기 위한 굿

설명: 막힌 운세를 뚫어주고, 재물운·건강운·가정운을 회복시키기 위해 행해집니다.


2. 진혼굿 (지노굿)

목적: 죽은 이의 혼을 위로하고 환생을 도와주는 굿

설명: 돌아가신 분의 영혼이 편안하게 떠날 수 있도록 위로하는 진혼 의식입니다. 지역에 따라 '지노굿'이라고도 부릅니다.

 

3. 고송굿

목적: 집안에 병이 돌거나 아픈 사람이 있을 때 행하는 굿

설명: 병의 원인을 신적 차원에서 파악하고, 액운을 몰아내기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.

 

4. 신내림굿

목적: 무당이 되기 위한 첫 관문으로 신을 받는 의식

설명: 신이 한 사람에게 강림하고, 무속의 길로 들어서기 위해 반드시 거치는 의례입니다.

 

5. 내림굿 (혹은 훗굿)

목적: 무당이 되기 위한 첫 관문으로 신을 받는 의식

설명: 신이 한 사람에게 강림하고, 무속의 길로 들어서기 위해 반드시 거치는 의례입니다.

 

6. 떠넘기굿

목적: 현대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 굿으로, 문제가 있는 신이나 액운을 남에게 전가시키는 의식

설명: 전통적으로는 ‘소름굿’이라고도 불렸으며, 부정적인 의미가 강해 요즘은 거의 행하지 않습니다.

 

7. 가리굿

목적: 신내림을 받았지만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행하는 굿

설명: 신의 길을 막고 있는 요소를 제거하고, 무당 본인의 운세를 정비하는 목적입니다.

 

8. 여탐굿

목적: 집안에 구천 떠도는 귀신이나 음기가 강할 때 이들을 달래는 굿

설명: "고춧가루를 뿌리듯이 방해하는 귀신을 달랜다"는 의미에서 유래된 의식입니다.

 

9. 사자굿

목적: 죽은 이를 저승사자의 손에 맡겨 극락으로 인도하는 굿

설명: 망자의 극락왕생과 원한 없는 이별을 위해 행해지는 장례 의식 중 하나입니다.

 


※ 본 콘텐츠는 무속적 관점에서 정리된 자료이며,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습니다.